2022년 1월 4일.
벌써 새해가 밝고 4일이 지났습니다.
spy 신고가, 애플 신고가가 휘날리는 이때,
조급해할 누군가를 위해서 씁니다.
주제 : 주식 마음가짐 점검
1. 자신만의 주식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데뷔를 위해 연습생을 모은다고 생각해 봅시다.
나이부터 외모 성장 가능성까지 다 확인해 봐야 합니다.
해외 진출 가능성은 물론, 타깃을 국내 팬으로 할 건지
해외 팬으로 할 건지부터 분위기 - 무드 - 타이틀곡- 안무
까지 모조리 봐야 합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의 역량을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입니까? 맞습니다. 바로 '재무제표'
입니다. 카더라만 믿고, 재무제표 보지 않는 투자는 바보입니다.
ㅋㅋㅋ 직설적이지만, 그렇습니다.
연습생 하나를 뽑을 때도 데뷔를 시킬 때도 그렇게 자세하게 봅니다.
그런데 주식은 뭡니까? '내 돈' 이 들어가는 겁니다.
더 정확한 지표를 통해 전망을 확인해야 합니다.
2. 치고 빠질 때를 정확하게 안다
일개 개개인은 절대 초능력자가 될 수 없습니다.
주식이 오르고 내리고를 알 수는 없습니다.
이 말은
"내가 언제 치고 언제 빠질 것인가 에 대한 기준"
을 명확하게 세워 놓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1주당 nn만원이 되면 딱 뺄 거야.
손익이 nn만원이 나면 뺄 거야.
라고 처음에 정해놓으십쇼.
일단 내 돈이 들어간 겁니다.
그러면 자주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어쩔 수 없는 겁니다.
확인을 자주 하시되, 순간순간에 마음이 흔들려선 안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도,
개개인으로 기준을 정해도 아무 상관없습니다.
저는 지금 5만 원대 하는 한 분야의 주식을
7만 2천 원이 되는 순간 싹 팔아버릴 겁니다.
그리고 거들떠도 안 보고 다른 곳으로 갈아탈 겁니다.
3. 결정은 내가 하는 것임을 계속해서 인지한다
또 반복합니다.
우리는 초능력자가 아닙니다. 더군다나 본인은 '사장몰래,' 주식을 합니다.
전문가가 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적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합니까? 공부해야지요. 책을 읽으시고
강연을 들으시면 됩니다. 무료 강의든 유료 강의든
좋은 영상들이 많습니다. 잘 찾아보면 실제 경제지표를 매달 업데이트하고,
가격까지 상정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유료플랫폼이지만 유용하게만
쓴다면 플러스가 됩니다.
하여튼,
그런 곳을 이용하든 간에 여러 가지 조언을 듣든 간에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들은 실제 돈을 우리에게 주지 않는다는 사실 말입니다.
투자를 하는 건 '내 통장'에서 '내 돈'이 빠져나가는 겁니다.
그로 인해 손실이 나든 이득이 나든 모두 내 책임입니다.
저번 시간까지 봤던 세금도 역시, '내 손익'에서 책정되는 것입니다.
4. 항상 일정 (현금 : 투자금) 비율을 유지한다.
주식을 한다고 월급의 95%을
주식으로 넣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없을 것 같습니까? 있습니다.
뭐라 그러는 것이 아닙니다. 반대하지 않습니다.
대단합니다. 생활비 아껴서 넣는 분들 보면 대단합니다.
그런데, 95%를 넣게 되면 어쩔 수 없는 게 있습니다.
생활금과 비상금이 없습니다.
이 기준을 개인으로 5만 원으로 두든 50만 원으로 두든
상관없을 텝니다. 우선 그래도 모든 비용을 투자금
및 자기 계발 비용에 넣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언제 큰돈이 필요할 때가 옵니다.
저축 꼭 하시고 하나 정도는 적금으로 묶어두시길
바랍니다. 통장 쪼개기를 해서 1개는 장기 적금
1개는 자유 적금 1개는 자유 입출금 통장 식으로
관리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어떻게 배분할지는 자유입니다.
5. 넣을 수 있는 최대한을 넣는다고 생각하라.
황당한 말일 텝니다.
아까는 비상금도 남겨두라고 했으면서 말입니다.
맞습니다. 비상금- 생활금- 최소 저축금액 필요합니다.
그 대신, 그 외의 모든 것을 주식에 넣으십시오.
자기 계발에 투자하시고, 미래를 위해 미래 자금으로 두십시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미래를 위해 투자하지 않는 사람은
정말 미래가 없습니다. 공부하십시오. 왜 멈춰 있습니까?
혹시 마음이 힘든 상태라면, 치료하시면 됩니다.
마음은 당연히 돌보아 주어야 합니다.
스스로를 보듬어야 합니다.
의사 선생님을 찾으시고
여행을 가시면 됩니다. 마음을 치료하시면 됩니다.
그건 노는 게 아니죠.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그러다가 여유가 생기면 공부 다시 하면 되는 겁니다.
그런데, 마음도 괜찮고
지갑 사정도 괜찮은데 펑펑 펑펑 쓰는 젊은이들을 보면
정말 안타깝습니다. 그 청춘과 열정이 안타깝습니다.
습득 능력도 훨씬 좋을 테고, 젊음에 상대적으로 체력도 받쳐줄 테고,
훨씬 좋은 조건입니다. 멈추어 있다는 게 안타깝습니다.
요즘 갓생? 이라고 하나요. 그거 살고 있는 사람들도 많은 거 압니다.
요즘 사람들이 생각이 없다고 하는 게 아닙니다.
열심히 하는 사람 있지요.
몇 년 전에 누군가가 또 그렇게 살았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열정의 양극화가 심한 듯 보입니다.
보상심리가 강해서 비싼 제품도 턱턱 삽니다.
그 돈이면 주식이 몇 주 인가. 이걸로 오늘 삼성을 몇 개를 살 수 있는가
생각하면 절대 결제 못합니다.
만약 주식을 시작한 사람이라면, 최대한의
내가 최대한 뽑아낼 수 있는 모든 금액을 쏟으시면 됩니다.
그것이 주식이든 청약이든 자기 계발이든 하여튼 간에
미래로 돈을 두어 두십시오.
그러면 10년 뒤, 20년 뒤는 정말 달라져 있을 겁니다.
저도 후회합니다. 그러지 못했던 것을 말입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압니다. 하나의 사소한 조건들이 쌓여서
거대한 구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6. 내 투자스타일을 정확하게 판단하라
인간은 감정의 동물입니다.
주식도 인간이 합니다.
주식도 감정에 좌지우지됩니다.
팔고 싶을 때 팔고, 사고 싶을 때 살 수 있습니다.
그러면 내 스타일을 파악하시면 됩니다.
장투인가 단타인가, 세금에 대해서 걱정을 하는 타입인가, 아닌가.
유니콘 기업을 찾는가, 오래된 기업을 선호하는가.
하물며, 옛날 대학을 갈 때도 그렇게 많은 과가 있고
진로를 결정할 때도 생각보다 많은 직업들이 있습니다.
그 하나하나가 이루어 가는 주식인데 스타일이
단조로울리 없습니다. 개개인을 정확하게 판단하십시오.
감정적인 사람이다?
좋습니다.
어떨 때 감정적이십니까?
어떨 때 주식을 사고 팝니까?
어떤 주식에 끌리십니까?
어떤 성향의 '사람'입니까?
정확하게 판단해야. 내가 언제 치고 빠질지
나의 개인적인 기준은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7. 기업가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가치"를 평가할 때는 뭐를 보고 판단,, 할까요
처음에 제가 '연습생을 데뷔시킨다'의 예시를 들었습니다.
끝없이 쏟아지는 가치투자, 가치판단, 기업가치,
뭘 보고 판단할 것 같습니까? 재무제표? 맞습니다.
무조건 봐야 합니다. 그런데 그것을 제외하고 말입니다.
"소비자의 심리 파악"
"연말 세금 덜 내기"
"더 뛰어난 '이득' 위한, 끊임없는 제품 개발"
"더 많은 주식 투자자를 모집"
등등이 있지 않겠습니까?
그러면 또 그에 따라 냉정하게 판단해 보십시오.
시중에 이 기업의 가치가 있는가 없는가.
더 정확하게는 내가 "1년 뒤에도 이 기업에
주식을 넣은걸 후회하지 않을 것인가"
"한 달 뒤에는 그럴 것인가"
이 기업을 계속 운영하고 싶은가.
주식이 떨어질 때 오히려 더 넣을 것인가 아니면
빨리 매도하고 안 볼 것인가.
등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거창하지는 않습니다.
내가 투자를 한다면, 기업가 입장에서 기업을 불린다면
어느 기업을 컨택하고 싶은지
어느 기업에 돈을 주고 싶은지 생각해 보면 됩니다.
저는 그 기준을 "최소한 1년은 내가 쓸 종목"
"최소한 5년은 내가 쓸 제품"으로 두었습니다.
중간 말마따나 이 기준은 다 다릅니다.
개개인이 정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주식 마인드 7가지를 살펴봤습니다.
1. 자신만의 주식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2. 치고 빠질 때를 정확하게 안다
3. 결정은 내가 하는 것임을 계속해서 인지한다
4. 항상 일정 (현금 : 투자금) 비율을 유지한다.
5. 넣을 수 있는 최대한을 넣는다고 생각하라.
6. 내 투자스타일을 정확하게 판단하라
7. 기업가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가장 기본적인 겁니다.
그러나, 오래 하기엔 가장 필요한 것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디 이 정보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세금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세금의 종류와 / 절세 방법
주식 이득 얻은 거 그거 얼마 된다고.. 세금도 내야 해? 주식 세금에 대해서 (tistory.com)
주식 이득 얻은 거 그거 얼마된다고.. 세금도 내야해? 주식세금에 대해서
오늘은 주제는 주식 세금 : 거참, 얼마나 된다고 세금인가? : 저는 100만원 이득 밖에 안 봤는데도 세금내야하나요? : EFT 배당 세금도 있다고? : 국내 주식이랑 해외 주식이랑 세금 비율은 뭐가 다
stock-plus-today.tistory.com
주식 세금 줄이기와 세금 신고법 : 세금... 피 같은 내 돈!!! (tistory.com)
주식 세금 줄이기와 세금 신고법 : 세금... 피 같은 내돈!!!
저번시간에 주식 도대체 얼마를 떼가는가? = 주식 세금에 대해서 알아봤다. 여기서 봤다 싶이, 엄~청 많이 떼간다. 주식 이득 얻은 거 그거 얼마된다고.. 세금도 내야해? 주식세금에 대해서 오늘
stock-plus-today.tistory.com
'최부장의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네이버 주가현황 가격이 왜이럴까? (9) | 2022.01.06 |
---|---|
애플 주가현황 : 3년동안 애플의 주가 상승 하락 살펴봅시다 (11) | 2022.01.05 |
주식 세금 줄이기와 세금 신고법 : 세금... 피 같은 내돈!!! (15) | 2022.01.01 |
주식 이득 얻은 거 그거 얼마된다고.. 세금도 내야해? 주식세금에 대해서 (17) | 2021.12.31 |
환율 : 달러투자, 일명 환테크 할때 꼭 알아야 하는 것 (14)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