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볼 주식용어는 :
어제 봤던 내용보다 조금 더 자세한 것들이 들어 있다.
10개 내외로 정리했으니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다.
앞으로도 보호예수나 공모주 같이 추가 탐구가 필요한
부분들은 업로드 된다. 주식용어를 다 알아보고 주식을
시작하는 것도 좋지만. 일단 이 글 난이도 까지만 안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더 추천한다.
뉴스 알아듣기만 하면 되고
신문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면 출~발~
0. 재무제표
재무제표(재물 재, 힘쓸 무, 모두 제, 도표 표) : 기업의 재정 상태 및 경영 성과의 고애 위해 작성된 회계 보고서 = 기업이 회계 연도가 끝나는 때에 결산 보고를 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회계 보고서. 기업 회계 원칙에 따라 작성되며, 기업의 경영 성적 및 재정 상태를 외부에 공개할 때 쓴다.
1. 별도재무제표 / 연결재무제표 / 결합재무제표
별도재무제표(나눌 별, 길 도, ---) : 자회사 없이 모회사의 사업실적만 기록한 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잇닿을 연,맺을 결, ---) : 모회사와 자회사의 회계를 종합해 작성하는 재무제표 = 모회사와 관련 자회사를 단일한 조직체로 간주하여 각각의 재무제표를 종합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 연결 대차 대조표 +연결 손익 계산서
결합재무제표(맺을 결, 합할 합, ---) : 연결 재무제표보다 계열사 대상을 확대하여, 재벌 총수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모든 계열사를 포함. 계열사 간 채무 보증 현황을 첨부한 재무제표.
2. 재무상태표 / 대차대조표 / 자산부채표
재무상태표(재물 재, 힘쓸 무, 형상 상=문서 장, 모습 태, 도표 표) : 특정 시점 기업이 보유하는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을 기록한 보고서 = 기업이 결산 때에 재정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도식화한 표. 기업의 자산을 부채와 자본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뉘어 있다.
대차대조표(빌릴 대=꿀 대, 빌릴 차, 대할 대, 비추다 조, 도표 표)
= 자산부채표(재물 자, 낳을 산, 떠맣다 부, 빚 채, 도표 표) : 기업이 결산 때에 재정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도식화한 표. 기업의 자산을 부채와 자본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뉘어 있다. = 특정 시점 기업이 보유하는 자산 부채 자본의 잔액을, 차변과 대변으로 정리 한 표
3. 손익계산서 / 현금흐름표
손익계산서(손해를 볼 손, 더할 익, 셀 계, 셈 산, 글 서) : 기업의 당해 경영활동으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손익기록한 보고서 = 한 회계 기간에 기업의 모든 비용과 수익을 비교하여서 손익의 정도를 밝히는 계산서.
현금흐름표(나타날 현, 쇠 금, 흐름(순우리말), 도표 표)(statement of cash flows) : 업의 당해 경 일정 기간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표 = 일정한 기간 동안의 기업의 현금 흐름을 나타내는 표. 현금의 변동 내용을 파악하여 지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현금 유입과 유출 내용을 기록하는 재무 자료이다.
<재무상태표 관련 개념정리>
4.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재물자, 낳을 산) :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 혹은 무형의 재산 =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ㆍ무형의 재산. 유동 자산과 고정 자산으로 대별된다 = 부채의 담보가 될 수 있는 것
자본 : 순자산. (자산) - (부채) = (자본) 즉,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으로, 자본금과 잉여금의 합
부채 : 기업이 제 3자에게 지고 있는 금전상의 의무. 갚아야 하는 '남'의 돈. = 제삼자에게 지고 있는 금전상의 의무. 회계상으로는 대차 대조표의 대변에 계산되어 셈에 들어간다.
** 대변(빌릴 대, 가장자리 변) : 장부상의 계정계좌의 오른쪽 부분. 자산의 감소, 부채나 자본의 증가,
이익의 발생 따위를 기입한다.
5.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유동비율
유동자산(흐를 유, 움직일 동, 재물 자, 낳을 산) : 1년 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 짧은 기간 안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현금ㆍ미수금ㆍ예금ㆍ외상 매출금ㆍ유가 증권 따위의 당좌 자산과, 상품ㆍ제품ㆍ원재료ㆍ저장품 따위의 재고 자산을 이른다.
유동부채(흐를 유, 움직일 동, 떠맡다 부, 빚 채) : 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 = 기업의 부채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빚. 외상 대금, 단기 차입금, 급한 어음 따위가 있다.
유동비율(흐를 유, 움직일 동, 견줄 비, 비율 율) : 유동자산의 유동부채에 대한 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 기업의 유동 자산을 유동 부채로 나눈 비율. 기업의 지급과 신용 능력을 판정하는 데에 쓰는 비율로, 이것이 2 이상이면 지급 능력이 충분하다고 본다.
6. 고정자산 / 당좌자산
고정자산(굳을 고, 정할 정, 재물 자, 낳을 산) : 1년 이상 생산 활동에 쓰이며 수익의 원천이 되는 재산. 토지, 공장, 기계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당좌자산(마땅 당=저당 당, 자리 좌, 재물 자, 낳을 산) : 유동자산 중,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이다. 현금, 예금, 받을어음, 외상 매출금, 유가 증권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저당(막을 저, 마당 당) : 부동산이나 동산을 채무의 담보로 잡거나, 담보로 잡힘
7. 당좌비율
당좌비율(저당 당, 자리좌, 견줄 비, 비율 율) : 당좌 자산의 합계액을, 유동부채의 합계액으로 나눈 '백분율'. 기업의 유동성의 지표로 이용된다. = 즉 당좌자산합계액/유동부채의 합계액 으로 나누고 그것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8. 매출 채권
매출 채권(팔 매, 날 출, 빚 채, 권세 권) :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고 발생한 외상금과 어음 등 받을 채권
= 기업의 일상적인 영업 활동 과정에서, 재화를 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수익 창출 활동으로 생긴 외상 매출금과 받을어음 따위의 신용 채권을 이르는 말
9.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덜 감, 값 가, 갚을 상, 물리칠각)(소모할 비)(머리쓸 액)
감가상각비 : 시간이 지나며 설비가 노후화된 만큼 자산을 차감하는 것 = 감가상각액을 충당하는 비용
감가상각액 : 소유한 부동산을 일정 기간 사용한 후, 처분하고 다시 취득할 대 발생하는 금액
<손익계산서 관련 개념정리>
10. 매출액
매출액(팔 매, 날 출, 이마 액) : 상품 판매 혹은 서비스 제공으로 얻은 수익 = 물건을 내다 팔아서 생긴 총액
11.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영업이익(경영할 영, 업 업, 이로울 이, 더할 익) :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매출액)-(매출원가)-(판매비)-(관리비) = (영업이익) // 기업의 주요 영업 활동에서 생기는 이익. 매출액에서 매출 원가, 일반 관리비, 판매비를 뺀 나머지이다.
당기순이익(마땅 당 = 저당 당, 기약할 기, 순수할 순, 이로울 이,더할 익) : 기업 전체 수익 - ( 모든 비용 ) = 남은 순이익 // 손익 계산서, 당기의 총수익에서 영업 외 비용을 포함한 총비용을 뺀 순액(純額).
12. 매출원가
매출원가(팔 매, 날 출, 근원 원, 값 가) : 판매한 상품의 '생산 원가' 혹은 '구입 원가'
= 상품의 제조 원가 or 판매하기 위하여 사들인 상품의 구입 가격.
13. 판매비 / 관리비
판매비(팔 판, 팔 매, 쓸 비) : 상품 따위를 파는 데에 드는 비용. 판매 수수료, 운송비, 광고 선전비 따위이다.
관리비(대롱 관, 다스릴 리, 쓸 비) : 시설이나 물건을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 = 매출원가에 들어가지 않는 '영업비용' 으로 급여, 복리후생비, 감가상각비, 연구비 등을 포함
14. 법인세
법인세(법 법, 사람 인,세금 세) : 법인이 소득 등에 대해 납부하는 세금 = 국세의 하나. 법인의 소득 따위에 부과하는 세금을 이른다.
15. 특수관계자
특수관계자(특별할 특, 다를 수, 관계할 관, 맬 계, 사람 자) : 회사의 대주주 및 오너의 : 친인척이나 관계인 etc, 특수 관계에 있는 자
지금까지 조금 더 까다로운 용어들에 대해 알아봤다.
사실 우리나라 단어들이 어려운 이유는
용어의 90%가 한자이기 때문이다.
바로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와닿지 않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한자 뜻을 한번만 알아두면
훨씬 수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 더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자를 하나하나 다 찾아 적어두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는 마음이다.
성공적인 주식 투자 파이팅
완전 왕초보 기본 용어는 아래로 확인해보면 된다.
2022.01.10 - [최부장의 주식 정보] - 주린이들을 위한 완전 기본! BASIC 주식 용어 정리 : 딱 15개만 확인
주린이들을 위한 완전 기본! BASIC 주식 용어 정리 : 딱 15개만 확인
오늘은 주식 용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최부장 또한 아직 멀었다. ㅋㅋㅋㅋㅋ 복습도 할 겸 한번 더 눈에 또 익힐겸 쭉 정리하고자 한다. 종종 Ctrl + F 기능으로, 여기서 찾아봐야 겠다. 0. 주식/
stock-plus-today.tistory.com
'최부장의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솔 lg 에너지솔루션 기업가치 : 그래서, 공모주 들어가도 되는거 맞아? 다트에서 증권신고서를 통해 샅샅이 알아보자 (10) | 2022.01.16 |
---|---|
LG 에너지 솔루션 공모주 / 규모 방법 계좌 : 단군이래 최대 IPO (11) | 2022.01.15 |
주린이들을 위한 완전 기본! BASIC 주식 용어 정리 : 딱 15개만 확인 (10) | 2022.01.10 |
공모주란? 공모주를 언제살 수 있을까? (8) | 2022.01.09 |
주식 보호예수 : 저점에 매수하려면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 (1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