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T로는 2번째 주제,
레버리지 EFT로는 첫 번째 글에서 = 레버리지의 정확한 정의와 예시를 알아봤다.
언뜻 보면 부정적인 부분이 가득한 것 같다. 하지만 사람들은 레버리지를 사용한다. 왜, 그럴까?
레버리지 EFT 도대체 뭘까 2. 정확한 정의와 예시
레버리지 ETF 레버리지( leverage ) 는 해석을 하자면 지렛대이다. 지렛대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stock-plus-today.tistory.com
정답은 매력적인 레버리지의 특성에 있다.
레버리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1. 내 순자산에 대비하여 레버리지 정도를 보고
2. 그 전날에 대비해서 얼마나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본다.
즉, 시장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일 '변동률'을 본다.
그래서 장기간 보유시 0으로 수렴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여기서 변동률이 딱 연상이 되는 때에 하게 되면
이득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 or 트럼프 당선일 등
이슈 발생 날에는 항상 코스피지수가 폭락했다. 그리고
며칠 사이 떨어진 만큼 회복했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이득을 보는 것이다.
주식은 사람 마음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불안정하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사람 마음이 언제 움직이는가,를 파악할 때
이득을 보는 것이다. 특히 레버리지 EFT에서는 말이다.
레버리지 ETF는 폭이 크다. 세계정세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닭 쫓던 개 신세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인덱스 와 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봤다. 무조건 나쁘고 좋은 건 없다고 생각한다.
내일은 현재 존재하는 모든 ETF를 요약하겠다. 레버리지나 인덱스 처럼 많은 사람들이
하는 건 아니지만, 알아두면 좋다. 오늘도 현명한 선택 하시길. 내 주식도 파이팅. 으라차차.
'최부장의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달러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더이상 주식만 할 수는 없다! (14) | 2021.12.29 |
---|---|
ETF 종류에 대해서, 마지막 총 정리 (20) | 2021.12.28 |
레버리지 EFT 도대체 뭘까 2. 정확한 정의와 예시 (20) | 2021.12.24 |
ETF 아직도 안하십니까? 1. 인덱스펀드 (22) | 2021.12.23 |
테슬라 6개월 주가현황 (21) | 2021.12.23 |